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책리뷰] 부의 추월차선 - 시스템, 통제, 실행

by 오십먹은 보통아빠 2025. 6. 29.
반응형

부의 추월차선 관련 이미지
부의 추월차선 (M.J. 드마코 저) 관련 이미지

 

누구나 부자가 되길 꿈꿉니다. 하지만 현실은 대부분의 사람이 평생을 성실히 일하고도 자유와 풍요를 손에 쥐지 못합니다. 저도 그랬습니다. 서른 살 즈음엔 어느 정도 경제적 성취를 이룰 줄 알았고, 마흔이 되면 안정적인 삶이 보장될 거라 막연히 믿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를수록, 노력만으로는 바뀌지 않는 벽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권의 책이 저를 완전히 멈춰 세웠습니다. M.J. 드마코의 《부의 추월차선》입니다. 처음엔 또 하나의 성공신화나 자극적인 자기 계발서일 거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책장을 넘길수록, 이 책이 말하는 부와 시간, 시스템의 상관관계는 제 삶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게 만들었습니다. 이제 저는 부자가 되는 방식을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제 삶의 주도권을 되찾을 수 있을지를 고민합니다. 《부의 추월차선》은 그 물음에 가장 현실적인 대답을 주었습니다.

시스템: 시간을 팔지 않는다는 것의 진짜 의미

책에서 가장 충격적이었던 부분은 “시간을 팔지 말라”는 문장이었습니다. 평생을 월급과 연금으로 설계된 서행차선에 몸을 담가온 제게, 이 문장은 일종의 선언문처럼 다가왔습니다. 저자는 우리가 매일 출근해 노동시간을 돈으로 교환하는 방식이야말로, 결코 부자가 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라고 지적합니다. 솔직히 말해, 저도 그 구조의 일부였습니다. 월급날이 오면 잠시 안도하고, 얼마 남지 않은 잔고를 보면 자괴감에 빠졌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누구보다 열심히 일했는데, 누구보다 돈과 시간에서 자유롭지 못했습니다. 《부의 추월차선》은 그 답이 ‘시스템’에 있다고 강조합니다. 저자는 시스템을 “내가 잠들어 있을 때조차 작동하는 수익 구조”로 정의합니다. 누군가는 온라인 쇼핑몰을, 다른 이는 자동화된 마케팅 채널을, 또 어떤 이는 디지털 자산을 만듭니다. 저는 이 개념을 접하고서, 나도 모르게 두려움을 느꼈습니다. 내가 과연 그런 구조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하지만 두려움이 곧 가능성을 증명하는 감정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날 이후, 내 시간만 파는 사람이 아니라 내 시스템을 만드는 사람으로 삶을 바꿔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통제: 부자가 아닌 이유는 잘못된 차선을 선택했기 때문

저자는 부자가 되지 못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로 ‘잘못된 차선’을 꼽았습니다. 저는 이 부분에서 오랫동안 시선을 떼지 못했습니다. 직장을 다니며 성실하게 월급을 모으고, 아이 교육과 노후를 위해 작은 재테크를 하는 것이야말로 올바른 길이라 여겼습니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그 모든 선택에는 ‘나 자신이 아니라 외부 조건에 운명을 맡기는 태도’가 깔려 있었습니다. 직장에서의 평가, 경기 변동, 정책 변화 등 수많은 변수에 따라 제 삶이 흔들렸습니다. 《부의 추월차선》은 그 모든 것이 통제 불가능한 리스크라고 말합니다. 부자들은 그것을 미리 인식하고, 통제권이 있는 자산과 플랫폼을 선택합니다. 저는 이 대목이 가장 아팠습니다. 내 삶을 스스로 설계한다고 자부했는데, 사실은 남이 짜놓은 레일 위에서 달리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책을 덮고 가장 먼저 적었습니다. “지금 내 삶에서 통제 가능한 것은 무엇인가?” 그리고 스스로 대답했습니다. “내 콘텐츠와 내가 쓸 수 있는 글.” 이 단순한 문장이 새로운 시작점이 되었습니다.

실행: 완벽한 계획이 아니라, 오늘의 행동

많은 자기 계발서가 꿈과 목표를 거창하게 말합니다. 하지만 《부의 추월차선》은 냉정하게 말합니다. 아무리 대단한 아이디어도, 실행이 없으면 쓰레기일 뿐이라고. 저는 이 문장이 꽂혔습니다. 평생 아이디어만 생각하며 ‘언젠가’라는 말을 반복해 왔습니다. 서른 엔 ‘조금 더 준비되면’, 마흔 엔 ‘이제 늦었으니 그냥 버텨야지’ 하고 주저했습니다. 그러다 결국 쉰이 되어, 시간도 돈도 모자란 현실에 서 있었습니다. 실행의 결핍이 만들어낸 결과였습니다. 그래서 저는 블로그를 시작했습니다. 하루에 한 편씩 짧은 글을 쓰기로 했습니다. 이 작은 행동이 처음엔 부끄러웠습니다. “이게 무슨 의미가 있나?” 자책도 했습니다. 하지만 책은 말합니다. 빠른 실행은 곧 빠른 학습과 피드백으로 이어진다고. 그리고 실행 없이는 어떤 추월차선도 생기지 않는다고. 저 역시 이제야 그 말을 몸으로 이해하게 됐습니다. ‘준비된 다음에’가 아니라, ‘하면서 배우는 것’이 정답이었습니다.

결론: '내 시스템을 만드는 일'에 최선을 다하라

이제 저는 더 이상 완벽한 계획이나 대단한 기획서를 준비하지 않습니다. 저의 핵심 도전 과제는 오직 하나, ‘내 시스템’을 만드는 것입니다. 하루에 한 시간이라도 내가 통제할 수 있는 무언가에 시간을 투자합니다. 글을 쓰고, 작은 전자책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나만의 브랜드를 어떻게 만들 수 있을지 메모합니다. 아직 수익은 없습니다. 하지만 분명히 느낍니다. 내 삶의 엔진이 예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걸. 《부의 추월차선》은 저에게 늦었다고 생각하던 순간, 다시 시작할 용기를 주었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매일 묻습니다. “오늘은 어떤 작은 실행으로 내 시스템에 벽돌을 쌓을 것인가?” 그 물음이야말로 앞으로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나침반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